'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610건
- 자아를 찾고자 하는 대학생 불안증 2010.12.31
- A+에 대한 열정은 어디에? 2010.12.31
- 내가 찾은 대학원 수업의 의미 - 기억, 리플레이 2010.12.31
- 도식(Schema), 스크립트(Script), 스토리(Story), 담론(Discours) 1 2010.12.31
- 제2회 국방해킹방어대회 2010.12.22
- 증명 사진 2010.12.21
- 하얀 겨울 2010.12.17
- 포인터형의 Vector 클래스에 Sort 적용하기 2010.12.15
- 2010학년도 2학기 프로그래밍언어론 프로젝트 2010.12.14
- Mario del Monaco "Vesti la giubba" Pagliacci 2010.12.12
자아를 찾고자 하는 대학생 불안증자아를 찾고자 하는 대학생 불안증
Posted at 2010. 12. 31. 20:08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
우리가 대학생활에서 불안을 느끼는 것은 심리학에서 다루는 가장 큰 쟁점 중의 하나인 ‘자기(Self)'와 관련돼 있다. 그리고 ‘자기’는 사회심리학의 관점에서 볼 때, 이미 태어날 때부터 안고 가는 것이라기 보다 주어진 상황에 따라 구성된다고 한다. 즉, 자신을 대상으로 하여 태도를 규정하고, 타인과의 사회적 상호작용 속에서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과정에서 ‘자기’를 파악한다는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자기’가 자신이 바라던 대로 되지 않을 때 비로소 불안해지고, 초조해지며, 행동으로 드러나는 것이다.
이를 테면 우리가 대학생활에서 친한 친구가 토익시험을 치고, 여러 가지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심열을 기울일 때, 자신은 불안증을 경험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이러한 현상도 바로 ‘자기’에 대한 반성적인 결과인 것이다. 일찍이 쿨리(Cooley)는 ‘자기’를 파악함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바로 자기 주위 사람들이라고 하였다. 그가 주장한 ‘Looking glass self'에 의하면 자신의 모습을 상상하는 능력, 그리고 그 모습에 대하여 다른 사람들이 어떤 평가를 하는지 상상해 보는 능력, 셋째로 자존심, 자괴감 같은 정서를 경험하는 능력이 있다고 했다. 여기에 관여되는 ‘자기’상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주의 사람들을 거울로 삼고 그 거울을 통해 자신의 정서나 행동에 기여한다는 것이다. 또한, 우리는 대개 자기 주위 사람들과 비교하여 그 답을 찾으려고 할 때가 많다. 예컨대 “당신은 키가 큽니까?”라는 질문에서 대해 자신이 아프리카의 피그미족과 같이 있다면 크다고 대답할 것이고, NBA 농구선수들과 같이 있다면 작다고 대답할 것이다. 즉 비교대상이 정해져 있어야 바른 답을 내릴 수 있고, 비교대상이 되는 것은 대부분 우리 자신과 유사한 사람들일 확률이 높다(Festinger, 1954). 그래서 늘 우리는 친구들을 보고 자신이 추구해야 할 ‘자기’의 상을 형성하고, 그 형상에 못 미칠 경우 정서적으로는 불안해지고, 행동적인 면에서는 서두르게 되며, 남들의 평가에 비추어 마치 자신이 못하고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대학생활에서 우리가 친구들이 뭔가를 열심히 할 때, 스스로가 불안해 지는 것은 주위 친구들의 그런 모습을 통해 자신을 반성적으로 돌이켜 보거나 ‘자기’ 형상에 좀 더 가까이 가고자하는 정서적인 반응이며, 이러한 정서적 각성으로 인해 “무언가 해야겠다”는 동기가 발생하기도 한다.
허성호 · 중앙대 심리학 박사
출처 : 중대신문
'교양 > 심리학의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락치기에 숨은 비밀 (0) | 2010.12.31 |
---|---|
왜 신입생들이 허망감을 느끼나요? (0) | 2010.12.31 |
A+에 대한 열정은 어디에? (0) | 2010.12.31 |
내가 찾은 대학원 수업의 의미 - 기억, 리플레이 (0) | 2010.12.31 |
도식(Schema), 스크립트(Script), 스토리(Story), 담론(Discours) (1) | 2010.12.31 |
A+에 대한 열정은 어디에?A+에 대한 열정은 어디에?
Posted at 2010. 12. 31. 20:06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
우리는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꾸준히 계획하며, 새로운 가치를 추구한다. 그 과정의 서막에서 우리는 늘 기대와 포부를 키우며 희망찬 미래를 생각해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대학생들의 경우 학점이 그것이다. 매학기마다 수강신청을 할 때면 A+를 향하는 눈빛은 거목도 단숨에 자를듯 날카로우며, 마음가짐 역시 평소 때와는 달리 배가되어 굳은 의지가 솟는 자신을 발견할 수 있다. 하지만 학기말이 되면 상황은 달라진다. 수용해야 하는 현실 앞에서 학기말에 가서는 초기의 마음가짐과는 달라지기 때문일 것이다.
그렇다면 사람들은 왜 학기 초에 그런 마음을 가지는 것이며, 초기의 마음가짐이 왜 학기말이 되면 달라지는 것일까? 학기 초 A+를 확신하는 자신감을 갖는 이러한 현상을 Oskamp(1965)은 ‘과신현상’이라고 하였다. 그의 실험에 따르면 어떠한 사실에 근거한 확신을 가지기 위해 정확성은 사실의 결과에 연관이 있지만, 신념은 상관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신이 처음 A+를 받을 거라고 믿는 신념은 결과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을 Einhorn과 Hogarth(1978)는 사람들이 ‘확증적 가설검증 방략’을 사용한다는 것에 기인한다. 즉 사람들은 자신의 가설을 부정하는 정보보다 긍정해 주는 정보를 찾는다. 그러한 증거가 누적되면 비록 정보의 가치가 없더라도 더 많은 지지적인 증거를 확보했다고 여기므로 그에 대한 확신을 더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과신 현상은 우연한 확률이 당시 정보와 유사할 때 더 강하게 나타나며, 인간의 인지 능력의 수준과는 무관하게 나타난다고 보고한다.(Dunning 등, 1990)
이렇게 과신을 가지고 학기말에 도달한 학생들은 ‘인지부조화’(Festinger, 1957)를 경험하게 된다. 여기서 인지부조화란 자신의 태도와 행동이 일치하지 않을 때 발생하며, 인간은 이러한 괴리감을 최소화하고자 한다는 이론이다.
자신이 믿는 신념적 태도와 그동안 수행해 온 행위들의 결과들이 일치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서 신념적 태도는 여전히 A+를 유지하였지만, 그 동안의 수행결과로 미루어 추론할 때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렇다면 이제 어떻게 할 것인가? 가장 흔히 나타나는 방법이 바로 그동안 취했던 행동에 걸맞게 기존 신념을 변화시키거나 인지부조화에 그다지 의미를 두지 않으려는 것이다. 따라서 학기말에 와서는 인지부조화로부터 오는 괴리감을 극복하기 위해 A+를 위한 굳은 신념의 마음가짐이 느슨함으로 변하는 것이다.
허성호 · 중앙대 심리학 박사
출처 : 중대신문
'교양 > 심리학의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락치기에 숨은 비밀 (0) | 2010.12.31 |
---|---|
왜 신입생들이 허망감을 느끼나요? (0) | 2010.12.31 |
자아를 찾고자 하는 대학생 불안증 (0) | 2010.12.31 |
내가 찾은 대학원 수업의 의미 - 기억, 리플레이 (0) | 2010.12.31 |
도식(Schema), 스크립트(Script), 스토리(Story), 담론(Discours) (1) | 2010.12.31 |
내가 찾은 대학원 수업의 의미 - 기억, 리플레이내가 찾은 대학원 수업의 의미 - 기억, 리플레이
Posted at 2010. 12. 31. 20:01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회의적인 하루 이틀의 연속이 언제부턴가 무료함을 더할 즈음이었다. 무난하게 가을 학기가 시작되었고 한두 번의 술자리가 있었지만, 마음 한켠에는 묵직한 납덩어리 하나가 자리 잡고 있었다. 왜냐하면 당시 나는 대학원에서 ‘사회문화심리’를 전공하고 있었는데 학부전공은 신소재 공학이어서 이에 따르는 부담감을 안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것이 납덩이였고 바로 그 날 강의가 있기 전 나의 얼굴이었다.
칠판에 주어진 단어는 ‘학제주의’였다. 이 주제는 다친 나의 마음을 어루만져 주었지만 사실 그 의미를 담기까지는 꽤나 많은 시간이 걸린 것 같다. 그리고 이어지는 강의는 나에게 커다란 엔진을 달아주었다. 대략 그 강의 내용은 “학문을 하는 사람들이 경계해야 할 것 중에 하나는 스스로 울타리를 쌓는 것이고, 학문을 연구하는 사람에게 있어서 궁극적인 수학의 경지 또한 학제주의를 벗어나지 못한다”는 골자로 이루어졌다. 이것이 나의 용기를 북돋아 그 동안 심리학에서는 사용하지 않았던 카오스적 해석법을 내 연구에 시도하게 되었다. 물론 나의 학기말 보고서를 두고 대부분의 사람들이 낯설게 쳐다보았으며 인정하기에 앞서 이해하기가 어려운 고급수학공식이 있어서 난감한 수업 분위기를 만들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 사건은 나의 시각을 한 단계 올려 주는 결정적인 역할을 하게 되었고 나아가 내가 박사과정까지 올 수 있었던 동기와 자신감을 불어 넣어 주었다. 그리고 수업 대부분이 그 당시 사회적으로 융성했던 사건들을 끊임없이 거론하여 여러 가지 이론을 쉽게 설명하였다. 처음에는 당연히 내 짧은 해석 속에서 맴돌았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학업과 현실이 떨어진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하나의 공간에서 서로 마주 보고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시간이 흘러 논문을 쓸 무렵, 또 다른 심리학 수업을 통해서 비로소 “자신이 여태껏 습득했던 지식들을 가지고 스스로 그 어떤 의미를 부여하는 구체적인 작업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즉 우리가 머무는 학교 안에서의 시간은 한 번의 기회가 주어지는 것이지 똑같은 결과를 안겨다 주는 것은 아니라는 사실을 일깨워 주었다.
그렇다면 대학원 생활에 던져진 화두는 무엇일까. 물론 사람들마다 답변이 다르겠지만 대학원 생활은 자신이 담아온 의미를 훨씬 더 구체적인 것으로 만들어가는 공통적인 맥락이 있다는 가정은 우리 모두에게 해당되는 일반적인 사실일지도 모른다. 심리학 수업들은 내가 이러한 사실을 깨닫게 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지난 2년 동안 구체적이고 다양한 의미를 가져다주었으며 지금도 내게 아주 중요한 메시지를 보내고 있다.
심리학과 박사과정 허성호의 기억
출처 : 중대신문
'교양 > 심리학의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락치기에 숨은 비밀 (0) | 2010.12.31 |
---|---|
왜 신입생들이 허망감을 느끼나요? (0) | 2010.12.31 |
자아를 찾고자 하는 대학생 불안증 (0) | 2010.12.31 |
A+에 대한 열정은 어디에? (0) | 2010.12.31 |
도식(Schema), 스크립트(Script), 스토리(Story), 담론(Discours) (1) | 2010.12.31 |
도식(Schema), 스크립트(Script), 스토리(Story), 담론(Discours)도식(Schema), 스크립트(Script), 스토리(Story), 담론(Discours)
Posted at 2010. 12. 31. 16:15 | Posted in 교양/심리학의이해심리학의 이해 수업 시간에 다루었던 부분이다. 기억과 사고를 공부하면서 수업 시간에 도식, 스크립트, 스토리 그리고 담론에 대해 이야기 하였다. 그 동안 담론이라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하였다. 내가 처음 담론이라는 용어를 접하게 된 것은 2004년 2학기 중앙게르마니아 콜로키엄 가을 프로그램에서 제61차로 진행된 푸코에 대한 강의였다. 그 당시 문화 이론에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푸코라는 인물에 대해 궁금하였다. 지금은 아트앤스터디에서 여러 가지 철학 강의를 하고 계시는 이정우 선생님께서 푸코에 대해 강의해주셨다. 그 강의 중 "담론" 이라는 말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그 당시 담론에 대한 궁금증만 가지고 있고 찾아보지는 않았다. 6년이 지난 지금 심리학의 이해 수업에서 담론에 대한 이야기를 듣자 회상이 되었다. 이제 도식, 스크립트, 스토리 그리고 담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도식(Schema)이란 정보는 의미끼리 연결되어 덩어리를 형성하는 것을 뜻한다. 이러한 도식은 경험과 새로운 정보가 누적되면서 커지게 된다. 우리는 대학 시절 전공에 대해 공부하는 것과 더불어 도식을 키워야 한다. 허성호 선생님께서 "내가 생각할 수 있는 만큼 생각한다." 라고 말씀해 주셨다. 문득 2004년도에 수강하였던 중국문화와 이해가 떠올랐다. 수업 시간 중 선생님으로부터 "아는 만큼 보인다." 라는 이야기를 들었는데 이것은 내가 생각할 수 있는 만큼 생각한다는 말과 일맥상통한다.
도식과 도식이 모이게 되면 스크립트(Script)를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스크립트 속에 기승전결(起承轉結)이라는 문장 구성에 있어서의 4단계, 즉 서론(序論), 설명(說明), 증명(證明), 결론(結論)이 더해지게 되면 스토리(Story)가 된다. 이러한 스토리 속에서 원래 이야기 속에 다른 이야기 또는 의미가 내포되어 있을 때 담론(Discours)이라고 한다.
도식에 대해 들으면서 초등학교 시절이 생각났다. 초등학교 시절에 그 학년에는 이해되지 않고 암기하였던 것이 학년이 올라가서야 이해가 되는 현상 이였다. 이것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도식이 풍부해지기 때문이다.
'교양 > 심리학의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벼락치기에 숨은 비밀 (0) | 2010.12.31 |
---|---|
왜 신입생들이 허망감을 느끼나요? (0) | 2010.12.31 |
자아를 찾고자 하는 대학생 불안증 (0) | 2010.12.31 |
A+에 대한 열정은 어디에? (0) | 2010.12.31 |
내가 찾은 대학원 수업의 의미 - 기억, 리플레이 (0) | 2010.12.31 |
제2회 국방해킹방어대회제2회 국방해킹방어대회
Posted at 2010. 12. 22. 22:03 | Posted in Life(서울=연합뉴스) 국군기무사령부가 2008년 5월 8일 서울 은평구 기무학교 국방정보보호교육센터에서 개최한 '해킹방어대회'에 참가한 해군의 이지스팀이 해킹 방어시범을 보이고 있다. << 연합뉴스 자료사진 >> 2009.7.8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KIWI DELICATE CREAM (0) | 2011.01.21 |
---|---|
미금역에서 SETEC 가는 방법 (1) | 2011.01.07 |
증명 사진 (0) | 2010.12.21 |
공부를 하는 방법 (0) | 2010.11.13 |
즐겨찾기 (0) | 2010.03.12 |
아침에 잠깐 나와 보니 하얀 세상이 되어 있었다. 이런 날에 딱 생각 나는 곡은 Mr. 2의 하얀 겨울이다. 어린 시절 카세트 테잎으로 이 노래를 들었던 것이 기억난다. 이제는 아련한 추억이 되었다. 이 곡을 검색하고 업로드하면서 재미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동영상을 업로드 하고 보니 내가 입력한 제목이 아니였다. 나는 "하얀 겨울"로 입력했는데 "하얀겨울"로 되어있었다. 자세히 보니 내가 업로드 한 것이 아니였다. 바로 중복되는 동영상의 경우 최초 업로드를 한 사람의 동영상이 등록되는 것이다. 이것으로 데이터의 중복을 방지하고 있는 것이다. 여러 사람이 같은 동영상을 올린다면 그것은 패킷 낭비일 것이다. 내부적으로 이것을 어떻게 구현할지 궁금하였다. 완전한 파일의 경우 MD5 해쉬 값을 통해 비교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동영상의 경우 어떻게 할까? 정말 웹서버에 업로드가 되고 나서 해쉬 값을 비교하여 등록 여부를 결정할지 아니면 구간결 프레임 정보를 보유하고 그것을 비교할지 궁금하다.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eak Now (0) | 2011.01.24 |
---|---|
Taylor Swift - Back To December (Live on Letterman) (0) | 2011.01.21 |
Just A Dream (1) | 2011.01.07 |
Mario del Monaco "Vesti la giubba" Pagliacci (0) | 2010.12.12 |
Taylor Swift - Love Story (0) | 2010.10.24 |
포인터형의 Vector 클래스에 Sort 적용하기포인터형의 Vector 클래스에 Sort 적용하기
Posted at 2010. 12. 15. 22:30 | Posted in Computer Science/컴퓨터프로그래밍#include <iostream> #include <algorithm> #include <vector> using namespace std; bool compare(const int* lhs, const int* rhs) { return *lhs < *rhs; } int main(int argc, char *argv[]) { vectorpInt; unsigned int iCount = 0; int* a = new int(10); int* b = new int(5); int* c = new int(3); int* d = new int(8); int* e = new int(1); pInt.push_back( a ); pInt.push_back( b ); pInt.push_back( c ); pInt.push_back( d ); pInt.push_back( e ); for(iCount = 0; iCount < pInt.size(); iCount++) cout << *pInt[iCount] << " "; cout << endl; sort( pInt.begin(), pInt.end(), compare ); for(iCount = 0; iCount < pInt.size(); iCount++) cout << *pInt[iCount] << " "; return 0; }
프로젝트를 하다가 Sort는 Selection Sort를 구현한다고 STL을 사용하지 않았다. 근데 한가지 궁금증이 생겼는데 바로 포인트형을 담고 있는 Vector의 경우 어떻게 Sort를 구현할 것인가? 였다. 해답은 Sort의 세번째 인자에 있었다.
'Computer Science > 컴퓨터프로그래밍' 카테고리의 다른 글
Class를 이용한 18자리의 Int 자료형 구현 (0) | 2010.11.12 |
---|
2010학년도 2학기 프로그래밍언어론 프로젝트2010학년도 2학기 프로그래밍언어론 프로젝트
Posted at 2010. 12. 14. 15:11 | Posted in Computer Science/프로그래밍언어론이번 학기 프로그래밍언어론 프로젝트는 Pascal 언어에 대한 인터프리터를 만드는 것이였다. 2010년 12월 14일 화요일 오후 2시부터 제2공학관 4층 실습실에서 DEMO를 진행하였다. DEMO를 진행하는 중 이찬근 선생님이 오셔서 잘 되냐고 물어보셨지만 선뜻 대답할 수 없었다. 참 부끄러웠다.
Lex를 통해 어휘 분석과 토큰에 대한 Linked List를 구성하고 RDP 방식으로 Non-terminal에 대한 함수 호출을 통해 파싱을 진행하게 된다. 여기까지는 잘 구현하였다. 하지만 문제는 변수에 대한 처리 및 연산이였다. 특히 변수처리가 너무 어려웠다. -1 이라는 숫자가 있을 때 -는 기호로 1은 숫자로 인식하여 음수 기호 다음에 나오는 숫자가 진짜 음수라는 것을 알려줘야 되지만 막상 그것이 쉽지가 않았다. 이것뿐만 아니라 여러가지 어려움이 많았다.
소위 드래곤북이라 불리는 책 표지를 보면 기사와 용에 대한 그림이 나온다. 이 책 표지를 자세히 보면 재미있다. 용의 그림에는 컴파일의 복잡도라 적혀 있고 기사의 검에는 LR파서가 적혀 있다. 물론 이번 프로젝트는 LL파서 기법을 사용하였다.
아무튼 이번 겨울 방학의 과제가 하나 더 생겼다. 이번 겨울 방학때는 프로그래밍언어 3종 세트에 대해 Review를 하고 새로운 언어에 대한 파서를 만드는 것이다.
'Computer Science > 프로그래밍언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JLex 1.4.3 사용기 (0) | 2010.11.08 |
---|
Mario del Monaco "Vesti la giubba" PagliacciMario del Monaco "Vesti la giubba" Pagliacci
Posted at 2010. 12. 12. 13:23 | Posted in Music
Vesti la giubba (Put on the costume) is a famous tenor aria performed as part of the opera Pagliacci, written and composed by Ruggero Leoncavallo, and first performed in 1892. Vesti la giubba is the conclusion of the first act, when Canio discovers his wife's infidelity, but must nevertheless prepare for his performance as Pagliaccio the clown because 'the show must go on'.
The aria is often regarded as one of the most moving in the operatic repertoire of the time. The pain of Canio is portrayed in the aria and exemplifies the entire notion of the 'tragic clown': smiling on the outside but crying on the inside. This is still displayed today as the clown motif often features the painted on tear running down the cheek of the performer.
Since the opera's first performance in 1892, this aria in particular has ingrained itself well into popular culture, and has often been featured in many renditions, mentions, and spoofs over the years. The 1904 recording by Enrico Caruso was the first million-selling record in history.
From Wikipedia
광대의 옷을 입어라! 유투브에 혹시나 있을까 싶어서 검색을 했더니 있었다. 워낙 유명한 오페라이기에 많은 테너들이 불렀다. 그 중에서 마리오 델 모나코의 경우 목소리가 아주 남성적이였다. 이 동영상의 앞 부분은 없지만 이것은 인터뷰 중 마리오 델 모나코가 자신의 공연을 녹음한 것을 들으며 흥분에 겨워 따라 부른다.
'Music'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eak Now (0) | 2011.01.24 |
---|---|
Taylor Swift - Back To December (Live on Letterman) (0) | 2011.01.21 |
Just A Dream (1) | 2011.01.07 |
하얀 겨울 (0) | 2010.12.17 |
Taylor Swift - Love Story (0) | 2010.10.24 |